잠을 자고 일어났을 때 귀가 갑자기 들리지 않는 경우를 돌발성 난청이라고 부른다. 이 돌발성 난청은 소리도둑이라고 하여 일시적으로 발생되었다 좋아지기도 하지만 반대로 초기증상을 무시하고 방치하게 되면 청력을 완전히 잃어버릴 수도 있다. 그럼 갑자기 귀가 먹먹하고 잘 들리지 않는 원인과 예방법에 대해 짚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소음성 난청
한쪽 귀가 먹먹한 원인으로는 소음성 난청이 있다. 소음성 난청이 발생되는 원인은 크게 2가지로 나뉘게 되는데 가장 큰 원인으로는 엄청 큰 음량으로 소리를 들을 때 방생되며 대표적으로 콘서트, 클럽등을 방문 후 발생하게 된다. 또한 건설 설비 직업군 혹은 폭죽 같은 폭발과 같은 큰 소리를 다루는 직업을 가지고 있는 분들에게 더 자주 발생하게 된다. 하지만 현재사회인들은 운동을 하는 과정 또는 업무를 하는 과정에서 이어폰을 자주 사용함에 따라 귀에 부담이 쌓여 점점 소음성 난청 증상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어폰 사용을 최소화하는 것이 좋으며 상황에 따라 그렇게 하지 못할 경우 음량을 최소 20% 30% 낮게 사용하는 것이 소음성 난청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된다.
유전으로 발생되는 난청
20대 30대에게서 발생되는 난청은 자연적으로 생기는 것보다 유전적으로 발생되는 경우가 높다. 그 말은 즉 부모님과 할머니 할아버지가 난청을 앓았다면 본인 또한 젊어서 난청이 발생할 수 있다는 뜻이기도 하다. 또한 젊은 사람에게 난청이 발생하면 방치하는 경우가 많아 치료 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많아 완치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게 현실이다. 그렇기 때문에 샤워나 머리를 감을 때 빼고 귀가 갑자기 먹먹한 증상이 발생되었다면 이비인후과에 방문 후 정밀한 진찰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
전음성 난청
갑자기 귀가 먹먹한 증상이 생기는 원인으로는 전음성 난청이 있다. 이 증상은 귀속에 염증이 발생했다 서서히 좋아지기도 하지만 증상이 악화되면 고막이 뚫리는 고막천공등이 생기기도 한다. 또한 귀속에 있는 귀지 덩어리가 갑자기 피부에서 탈락하면서 고막을 틀어막아 귀가 먹먹한 증상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때 귀에 돌멩이가 굴러다니는 소리가 들리기도 하며 증상은 갑자기 확 좋아지기도 한다. 하지만 증상이 짧게는 1일 길게는 3일 이상 지속 된다면 이비인후과 방문 후 귀지 제거나 귀 내부 진찰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 귀지제거 비용은 보통 1만 원 초반 가격을 형성한다.
나도 돌발성 난청이?!
돌발성 난청은 갑자기 한쪽귀가 들리지 않는 증상을 말한다. 또한 돌발성 난청은 원인 찾기가 쉽지 않으며 청력을 서서히 잃게 되며 돌발성 난청에 초기 증상으로는 삐- 소리가 들리는 이명 증상, 갑자기 머리가 핑 도는 현기증 증상을 동반하게 된다. 하지만 돌발성 난청은 1000명 중 0.10% 1000명 중에 한 명 꼴 정도말 발생 되기 때문에 우선 위와 같은 비슷한 증상이 있다면 방치하지 말고 빠른 진찰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
- 돌발성 난청의 골든 타임은 2주다. 만약 2주가 넘어갔다면 완치율이 상당히 많이 떨어지게 된다.
코르티솔 그리고 스트레스
스트레스는 만병에 근원이라는 말은 한 번쯤 들어봤을 것이다. 우리의 귀도 스트레스레 굉장히 취약한 부분인대 우리가 스트레스를 받게 되면 코르티솔이라는 스트레스 물질이 과도하게 분비되는데 이때 신경전달 물질이 정상적으로 분비되지 않아 각 장기 기능이 떨어져 질병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귀도 마찬가지로 정상적으로 영양 공급이 정상적으로 전달되지 않아 갑자기 삐- 하는 소리 즉 이명과 어지러움 증상등이 발생하기도 한다. 그렇기 때문에 최근에 이명이 자주 들린다면 이미 몸이 과도하게 지쳐있는 것을 의미하게 때문에 개인마다 스트레스를 푸는 방법과 충분한 휴식, 식습관을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귀 먹먹 증상 정리
귀가 먹먹한 증상은 앞서 이야기한 것처럼 영양부족, 스트레스, 유전적, 환경적 요인들로 발생하기 때문에 한 가지로 딱 집어 원일을 말할 수 없다. 그렇기 때문에 이명 증상과 어지러움 증상이 같이 동반되면서 귀가 먹먹한 증상이 짧게는 1일 혹은 3일 이상 지속 된다면 방치하지 말고 이비인후과 방문 하는 것이 중요하며 귀 먹먹 증상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특히 커널형 이어폰 사용 횟수와 시간을 줄이고 만약 그렇게 하지 못한다면 최대 볼륨을 20%~30% 줄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건강한 하루 >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과 효능 그리고 부작용 : 아침, 저녁 (0) | 2023.05.30 |
---|---|
만성, 급성 췌장염 초기 증상, 원인 : 좋은 음식 (0) | 2023.05.29 |
돼지감자차 효능,부작용 (0) | 2023.05.28 |
후두암 초기증상, 완치율, 생존율 (0) | 2023.05.26 |
귀에 물들어갔을 때 물빼는법 : 물찬 느낌 (1) | 2023.05.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