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이 걸리는 이유는 근육이 수축하는 과정에서 이완되지 못하여 딱딱하게 굳어 통증을 유발하는 것이 담이다. 또한, 목 주변에 담이 한번 발생하면 목을 돌릴 수 없을 정도로 통증이 심하게 발생하여 일상생활에도 큰 불편함이 발생하게 되는데, 오늘은 담이 생기는 이유와 푸는 방법에 대해 확실하게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담이 자주 걸려요!
담이 간혹 한 번씩 걸리는 사람이 있는 가하면 주기적으로 걸리는 사람들이 있다. 이렇게 담에 자주 걸리는 사람들은 근막통증후군이라는 질환을 의심해 볼 필요가 있다. 근막통증후군은 근육에 과도하게 피로가 쌓이고 쌓여 근육이 수축과 이완이 잘되지 않게 되고 수축하면서 근육이 딱딱하게 굳는 질환이다. 이러한 질환이 생기는 원인으로는 오랜 시간 몸을 움직이지 않는 직업과 반대로 몸을 과도하게 많이 사용하는 특정 직업에서 발생하게 된다.
근막통증후군 자가진단 법
- 1. 장시간 오래 앉아 있는 일을 한다.
- 2. 특별하게 힘든 일을 하지 않았음에도 몸이 뻐근하고 피로하다.
- 3. 피로감과 두통이 한 달에 3회 이상 발생하는 편이다.
- 4. 목과 어깨등을 만졌을 때 멍울 같은 곳이 있으며 누르면 압통이 발생된다.
담이 목 주변에 자주 발생 되는 이유
다른 신체 부위와 다르게 우리의 목과 등 쪽에 근육은 특정 자세를 하지 않는 이상 근육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그렇기 때문에 근육에 긴장도가 상대적으로 다른 근육보다 높게 되는데 이때 어느 순간 등근육과 어깨 근육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갑자기 담에 발생하게 된다.
담 걸렸을 때 푸는 법
담 걸렸을 때 병원에 방문하게 되면 여러 치료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대표적으로 주사치료, 물리치료, 도수치료등을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치료 방법들은 전부 근육을 빠르게 풀어주기 위함이 우선적이며 그다음이 약물 치료로 소염진통제, 이완제등을 복용하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수축되고 딱딱해진 근육을 어떻게 하면 빨리 풀 수 있는지가 급선무이다. 이때 아픈 부위를 사용하지 않거나 방치하게 되면 통증이 오히려 더 오래 지속될 수 있기 때문에 마사지나 가벼운 스트레칭을 통해 아픈 부위 근육을 이완시켜 주는 것이 좋다. 앞서 "담 걸렸을 때 푸는 법"을 소개한 적이 있는 있기 때문에 담 걸렸을 때 스트레칭 방법은 이전 내용은 참고해 보시기 바랍니다.
수면과 담의 연관성
잠을 자고 일어났을 때 갑자기 몸이 안 돌아가거나 등 쪽에 담이 걸려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도 종종 볼 수 있다. 이러한 이유는 잠을 자는 자세가 불편해서 발생하게 되며 특히 높은 베개나 불편한 바닥, 협소한 공간에서 쪽잠등에 이유로 발생되기 때문에 잠을 자고 일어났을 때 담이 많이 발생한다면 이러한 침실에 문제점을 찾아 바꿔 주는 것이 중요하다.
근육량이 적으면 쉽게 발생해요!
우리 몸에 근육은 단지 무거운 물건을 드는 역할을 하는 것만이 아닌 우리가 고개를 돌리고 자세를 돌리는 과정에서도 사용하게 된다. 또한 근육은 매초 마다 수축과 이완을 계속 반복하게 된다. 이때 근육량이 부족하게 되면 몸에 있는 적은 양에 근육들은 쉽게 피로하게 되고 통증 유발 물질들이 과도하게 근육에 쌓여 담에 더 쉽게 발생하게 된다.
담 예방 하는 방법
앞서 이야기한 것처럼 담에 발생되는 원인은 근육이 과도하게 피로하거나 갑자기 사용하지 않았을 때 또는 긴장하고 있는 목근육과 등근육을 갑자기 빠르게 움직였을 때 발생 하기 때문에 오래 앉아 있는 사람들은 주기적으로 일어나 스트레칭을 해주는 것이 좋다. 또한 잠을 자고 일어났을대 담이 잘 생기는 사람들은 잠들기 전 5분에서 10분 정도 해주어 근육도 풀어주고 깊은 수면에도 도움이 되는 자세를 해주는 것도 담을 예방 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
![](https://blog.kakaocdn.net/dn/bjMEJ3/btsdzCUdLMn/KkqYPG8m9sLVpJBFrXl7G0/img.jpg)
'건강한 하루 >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왼쪽 갈비뼈 아래 통증 원인 : 옆구리 통증 (0) | 2023.05.03 |
---|---|
족저근막염 치료 및 증상 : 신발, 패드 (0) | 2023.05.03 |
명치 통증 및 답답함 이유 (0) | 2023.05.01 |
파인애플 효능 및 자르는법 : 칼로리, 부작용 (0) | 2023.05.01 |
발목 통증 및 인대 늘어났을때 증상, 파열 (1) | 2023.04.30 |
댓글